●유용한정보

전기 요금 계산법

행복한떠돌이 2018. 10. 15. 16:02
반응형

다양한 정보는 http://cyber.kepco.co.kr/ckepco/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 가면 있다.

 

전기 요금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자. 가정을 기준으로 계산해보겠다.

일단 계산하기전에 자기 집이 주택용(저압),주택용(고압)인지 알아야 한다. 저압으로 전기를 받아 쓰는지 고압으로 받아쓰는지 알아야되는데 간단하다.

 

전기요금이 관리비 포함 청구 되는 집이면 -> 고압전기

전기요금고지서 라는 게 따로 청구 되는 집이면 -> 저압전기

 

단독주택 대부분 저압전기이며, 아파트 대부분 고압전기를 받아서 쓴다. 자기 상황에 맞게 계산해보자 크게 차이는 없다.

 

 

(몰랐는데 전기요금계산 구간이 바뀌었다. 예전에는 100단위로 끊었던거 같은데 지금은 3단계 밖에없다.)

 

 일단 저압의 전기가 비싸다 비교해보면

 아마 단독주택특징상 하나하나 전기를 다 연결해줘야 하지만 아파트는 편하게 묶여있어서 그런가 보다.

(정말로 예측일뿐이다. 걸러듣도록)

 

계산방법을 알려드리겠다.

 

200kw을 썼다면

 200kwh이하 사용 기본요금은 910원 , 이용료는 93.3  X 200 = 18660원이다. 이걸 두개 더한 값이 전기요금으로 보일 수 있으나 밑에 보이는 가?200kwh이하 사용하면 4000원을 깎아준다. 즉 더한 값 19570-4000이 15570이 요금이다.

(여기서 감액후 최저요금 1000원이라고 적힌거는 그거다,10kw를 사용시 기본요금 910원, 이용료 933원인데 여기서 -4000원하면 -값이 나온다. 즉, 1000원이하 값인데 1000원이하 값은 다 최저요금 1000원으로 나온다는 소리)

 

201kw을 썼다면

 201kw~400kw 의 기본요금으로 바뀐다. 1600원. 이용료는 200kw까지 똑같이 나온다. 93.3* 200 = 18660원 그다음 200초과 값은 또 다른 요금 187.9원으로 계산한다. 1kw*187.9=187.9원

기본요금 1600+18660+187.9 = 23240원이 된다

 

대충 알겠는가?

기본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그 사용량 구간의 기본요금 한번만 측정하면 되고, 전력량요금은 1~200 ,200 ~ 400 ,400초과 구간별로 전력량 각각을 계산하여 더하는 것이다.

 

 

 

반응형